업자들로부터 금품 및 향응접대를 받았다는 의혹을 산 양주시 공무원 4명이 중징계 조치됐다. 이 사건에 연루된 서울 전출 공무원 1명도 중징계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 이들과 어울리며 공사대금 늑장 지급을 하던 다른 1명은 경징계 됐다. 또 다른 1명은 부적절한 인사관리로 이미 훈계를 받았다.
경기도는 9월22일 인사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징계를 결정했다.
이들에 대한 중징계 사태는 지난 4월부터 조짐을 보였다. 국무조정실은 지난 4월8일 양주시로 내려와 하도급 몰아주기와 인사비리 등을 조사했다. 양주시가 각종 관급공사를 진행하면서 직위를 이용하여 원청업체들을 상대로 특정 관내업체들에게 하도급 공사를 몰아주도록 했다는 비리의혹 투서에 따른 것이었다.
조사 결과 비리의혹이 일부 사실로 드러났고, 자료를 건네 받은 안전행정부는 지난 6월 양주시 공무원들로부터 문답 확인서를 받아갔다. 이어 7월에는 경기도가 ‘6.4 지방선거 전후 공직기강(공무원비리) 감찰 처분지시’를 내리고, 연루자들에 대한 중징계를 통보했다.
이들은 그동안 특정업체들로부터 금품(상품권 등)은 물론 향응접대까지 받았다는 의혹을 샀다. 그러나 한 공무원은 이런 사실을 전면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사대금을 늑장 지급하다 적발돼 경징계를 받은 공무원은 개인통장에 출처가 의심되는 현금 2천700여만원이 발견됐다. 특히 현금 일부가 또 다른 공무원에게 흘러들어간 정황이 포착돼 양주경찰서가 수사를 진행 중이다. 이 때문에 두 사람의 관계까지 의심 받고 있다.
이와 함께 핵심 연루자를 부당 승진시킨 인사업무 담당자는 훈계 조치를 받는 등 양주시가 이번 사건으로 ‘도덕 불감증’이라는 깊은 수렁에 빠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