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의정부경전철 이용객들은 환승할인과 경로무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의정부시와 의정부경전철㈜이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 및 경로무임 승차제도를 도입하기로 전격 합의하고, 4월21일 시청 상황실에서 합의서 조인식을 가졌다.
그러나 시민단체 등이 ‘선거를 앞둔 미봉책’이라고 지적하는 등 당분간 논란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시와 의정부경전철㈜은 시스템이 구축되는 올해 말부터 환승할인을 시행하고, 경로무임은 환승할인 도입 전에 우선 시행하는 방안을 별도 협의 중이다.
합의내용을 보면, 환승손실금은 경기도에서 지원하는 30%를 제외한 70%를 시와 의정부경전철㈜이 절반씩 부담하고, 경로무임 손실금은 의정부경전철㈜이 매년 9억원을 분담키로 했다.
시는 또 60억원 가량 소요되는 환승시스템 구축비 중 절반인 30억원을 부담하고, 경전철과 버스가 상생할 수 있도록 버스노선 개편을 추진하는 등 최선을 다해 협력키로 했다.
시와 의정부경전철㈜은 1년6개월 이상 환승손실금 분담에 대한 협상을 진행하면서 분담비율에 대한 의견대립으로 한 때 사업해지와 운행중단 등의 위기상황을 맞기도 했다.
환승할인이 시행되면 여러 교통수단을 이용하더라도 기본요금이 한 번만 부과되기 때문에 경전철 이용객들은 교통요금 부담을 덜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이용객이 늘어나면서 의정부경전철이 적자폭을 줄이고 대중교통으로서의 경쟁력을 나름 갖추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이용객이 늘면 최소운영수입보장(MRG, Minimum Revenue Guarantee)이 작동돼 의정부시의 또다른 재정투입도 우려된다.
환승할인제 도입은 시의회와 경기도, 기획재정부 등과의 협의, 시스템 구축과 코레일 등 연락운송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올해 말부터는 시행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실시협약이 해지되면 의정부시는 의정부경전철㈜에 해지지급금 2,900억원을 일시에 지급해야 하고, 매년 최대 44억원 정도의 경전철 운영비가 소요되는 등 최악의 재정위기가 초래될 수 있었는데 이런 상황은 피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