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에서 양주까지 전철 7호선 연장이 가능한지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용역 결과가 2개월째 지연돼 배경에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전철 7호선 경기북부 연장사업 일환인 ‘도봉산~옥정 복선전철사업’은 지난해 5월27일 기획재정부가 개최한 ‘재정사업평가자문회의’에서 2013년 상반기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됐다.
그동안 전철 7호선 연장사업은 2010년 12월과 2012년 4월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비용대비 편익(B/C)비율이 ‘사업성 부족(1.0 이하)’으로 나와 좌초 위기에 빠진 바 있다.
양주시는 이에 따라 장암역에서 7호선을, 도봉산역에서 1호선과 7호선을 갈아탈 수 있는 새 노선과 운행차량을 기존 1편성 8량에서 1편성 2량으로 축소하여 B/C를 1.0 이상 확보하겠다는 사업계획서를 제출했었다.
새로 마련한 전철 7호선 연장안은 도봉산역에서 양주시 옥정지구까지 복선 14.08㎞를 2020년 개통 목표로 2019년까지 사업비 7천591억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방비 분담비율은 도시철도(국비 60%, 지방비 40%)와 같은 지자체 시행 광역철도다.
그러나 예비타당성 조사 주무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해 7월12일 현장조사를 나온 뒤 12월 예정이었던 용역결과가 발표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7호선 연장 1차 관문인 B/C 1.0이 확보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의문이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양주시 관계자는 2월27일 “지난해 10월 국토해양부에 B/C 1.0 확보에 유리한 방향으로 사업계획 변경신청을 했다”며 “이 때문에 KDI 수요분석팀, 기술분석팀이 재평가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있을 뿐”이라고 밝혔다. 통상 사업계획 변경신청이 들어가면 결과는 1년 가량 늦춰질 수도 있다.
한편,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정성호 국회의원실 관계자는 “연계체계(직결이냐 환승이냐), 건설체계(복선이냐 단선이냐), 지상화(전구간 또는 일부), 운영방식(출퇴근 배차시간 7분 또는 15분) 등에 따른 8가지 상황을 다 점검하여 B/C 1.0이 확보되는 쪽으로 기획재정부에 요청한 상태”라며 “핵심과제인 비용절감을 위해 대안노선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