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가 시장 측근들에게 성공여부가 불확실한 양주떡공장 보조사업비 32억원을 특혜성 절차로 퍼주고 있는 가운데, 이 돈에 대한 집행내역을 은폐하고 나섰다.
양주시는 지난 2011년 5월 농림수산식품부의 ‘농어촌자원복합산업화지원사업’ 응모에 ‘양주골 쌀 향토산업육성사업’이 선정됐는데, 35억원(자부담 10%)이 투입되는 이 사업을 직접 운영하지 않고 2011년 9월 일반 조합원은 단 한명도 없이 급조된 신양주영농조합법인에게 넘겼다.
양주시는 지난 2012년 3월 양주쌀 향토산업육성사업 지원대상을 공모하고, 자격에 문제가 심각한 신양주영농조합법인을 특혜성 단독 절차를 거쳐 선정한 것이다.
그 뒤 양주쌀가공식품복합문화사업단이라는 급조된 단체가 제품개발 및 컨설팅에 참여했으며, 이 사업단 대표는 시장 최측근인 조웅래 양주시생활체육회장으로 드러났다. 조웅래 대표의 부인은 신양주영농조합법인 감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2012년 8월 구성된 양주쌀가공식품복합문화사업단은 그해 8월29일 8천만원짜리 ‘양주시 고유의 떡과 떡을 이용한 한 끼 식사대용 음식연구 및 제품개발’ 용역을 긴급 입찰한 사실도 드러났다. 긴급 입찰은 국가재난사태에 준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특히 입찰 참가자격을 중간에 강화한 뒤 단독입찰한 한 식품연구소를 선정했는데, 이 식품연구소의 소장이 양주쌀가공식품복합문화사업단 연구책임자인 것으로도 밝혀졌다.
이런 상황에서 양주시는 그동안의 입찰내역, 예산집행내역에 대한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 양주시 관계자는 “목에 칼이 들어와도 공개할 수 없다”는 어이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