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가 창간기념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양주와 동두천 시민들은 행정구역이 변경된 시간만큼이나 삶과 가치 기준에서 조금씩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1981년 7월1일 양주군에서 시로 분리 승격된 동두천시는 그동안 독자적 행정체제를 구축했으며, 양주군 또한 2003년 10월19일 도농복합시로 승격되었고, 최근에는 각종 개발 등으로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동두천시는 1998년 11월30일 인구 5천명 미만 과소동이 통폐합되어 10개동이 7개동으로 줄어든 반면, 양주시는 시승격과 더불어 7개 읍면동이 11개 읍면동으로 늘어났다.
오래전부터 한 뿌리였던 양주시와 동두천시가 국가정책에 따라 강제 분리된지 만 24년이 흐른 지금, 양쪽은 알게 모르게 이질적인 정서와 문화로 변모됐다. 1963년 1월1일 읍에서 시로 승격되면서 양주군에서 분리된 의정부시는 동두천과 양주의 차이보다 정도가 더욱 심하다.
정치인들 대다수가 강하게 희망하고 있는 경기북도 신설과 관련해서 본지 여론조사 결과, 양주시민 49.6%는 찬성 입장을 밝힌 반면, 동두천시민 47.6%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행정구역 개편을 가정한 질문에서도 양주에서는 ‘양주와 동두천, 의정부를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8.8%)’는 주장이 우세했지만, 동두천에서는 ‘양주와 동두천을 통합하자’는 의견이 과반수(50.4%)를 넘었다. 양주시민들은 인프라 구축을 우선시했지만, 동두천시민들은 경제활성화를 가장 원하고 있는 부분도 눈여겨볼 만한 대목이다.
물론 결과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정책방향이 달라질 수 있겠지만, 양쪽 시민들이 처한 현실을 있는 그대로 분석해보면 이유에 대한 타당성이 나타난다. 미군주둔에 따라 질곡의 역사로 점철된 동두천시는 미군에 의해 지역경제가 부침을 거듭하고 있으며, 제법 도농복합시 기능을 충족해가고 있는 양주시는 막개발보다는 교통 문화 등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더 필요하다고 느낄 것이기 때문이다.
양주시와 동두천시를 대표하고, 시민들의 대변자이자 봉사자, 지도자라고 생각하는 지역일꾼들은 이같은 여론조사 결과를 곱씹어 보며 과연 우리지역을 어떻게 하면 살기 좋은 고장으로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소지역주의에 안주하기만 한다면, 최근 벌어지고 있는 동두천 신시가지 악취문제, 과거 신천수질개선 문제, 가뭄 단수현상 등 인재에 따른 각종 피해는 고스란히 선량한 시민들의 몫이기 때문이다. 나를 버리고 남을 살리겠다는 마음이 필요하다. 시장직도 내던 질 자세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