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2025.07.14 (월)
 
Home > 사회/교육 > 현장
 
양주변전소 인근 삼하리 집단 암 발병
주민 120가구 667명중 암 발생 무려 29명
  2007-06-07 15:00:09 입력

▲ 장재훈 의원이 작성한 삼하리 암 발생자 분포현황도. 빨간 스티커가 사망자, 노란 스티커가 암투병자.


▲ 2년전 대장암에 걸린 삼하리 박태성(72) 할아버지와 장재훈 의원(왼쪽)이 송전탑을 바라보며 이야기하고 있다.

물 맑고 공기 좋아 예로부터 장수마을로 알려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주민들이 집단적으로 암에 걸려 관계당국의 철저한 역학조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양주시의회 장재훈 의원은 6월7일 그동안 삼하리 주민들의 암 발병 현황을 추적한 결과 무려 29명이 위암, 대장암, 안구암, 피부암, 전립선암 등 각종 암에 걸려 이중 17명이 사망하고 12명이 현재 투병중이라고 밝혔다.

장재훈 의원은 “이같은 암 집단 발병 원인은 한전 양주변전소와 이곳에서 전·송출되는 고압전류 때문으로 추정된다”며 “특히 팔당댐에서 들어오는 불완전한 고압선 인근인 삼하리 14번지 일대 등에 무려 15명이 암에 걸렸다”고 설명했다.

345kV급 한전 양주변전소는 그린벨트인 삼하리 산8번지 일대에 2만7천평 규모로 설치돼 1992년부터 가동에 들어갔으며, 현재 장흥면과 광적면, 고양시 고양동 1만7천여호를 대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곳이다.

장 의원은 양주변전소 가동일인 1992년 이전 삼하리 주민은 120가구 667명이 살고 있었으나 가동 이후 1996년부터 계속해서 암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면역력이 떨어진 노인들에게 암 발병이 집중되고 있으며, 한번에 3명이나 암에 걸린 가족도 있다고 지적했다.<도표 참조>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암 사망자 현황

 

연번 주소 성명 출생일 사망일 원인
1 60-3번지 김*인 1922 2003.3.19
2 14번지 김*순 1920 2002.12.24 위암
3 14번지 장*돌 1912 1998.9.20 위암
4 22번지 연*옥 1948 2006.3.18 위암
5 14번지 박*길 1931 2002.10.8 위암
6 17번지 김*두 1925 1998.4.21 위암
7 19번지 유*임 1928 2001.11.28 위암
8 84번지 유*희 1932 1996.9.1
9 84번지 안*선 1925 2002.11.24
10 140번지 김*숙 1925 2005.7.11
11 275번지 이*찬 1924 1998.8.4 위암
12 275번지 홍*숙 1929 2002.7.28
13 307번지 김*자 1942 2007.2.25 위암
14 340-7번지 이*규 1964 1997.6.17 뇌종양
15 310번지 이*규 1935 1996.1.18 피부암
16 317번지 김*렬 1941 2000.10.
17 323번지 음*환 1935 2007.5.24 위암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암 투병자 현황

 

연번 주소 성명 연령 발병일 병명
1 450-30번지 장*숙 28 안구암
2 450-30번지 이*순 85 뇌종양
3 24-2번지 지*례 53 자궁암
4 21-4번지 김*규 59 위암
5 85-8번지 안*선 89 전립선
6 14번지 장*봉 52 피부암
7 14번지 박*길 79 대장암
8 14번지 박*성 72 대장암
9 114번지 장*남 84 전립선
10 116-4번지 장*근 74 폐암
11 139번지 어*근 78 위암
12 140번지 김*성 85 전립선

장 의원은 “가재, 새우 등 갑각류의 씨가 말랐고, 주위가 조용한 아침 저녁이면 전기 흐르는 소리가 들린다”며 “논에서 일하다보면 비오는 날 전기가 몸에 흘러 일을 그만 둔 분도 계시다”고 설명했다.

2년 전 대장암에 걸린 박태성(72) 할아버지는 “송전탑이 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노고산 밖으로 설치되어야 했는데, 이렇게 계곡을 끼고 마을에 설치돼 좋지 않다”며 “매달 병원치료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유방암에 걸린 김모씨는 “원인은 둘째치고 송전탑이 없어지면 심리적으로라도 해방될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폐암과 싸우고 있는 장모(74)씨의 경우 뇌에 생겨야 할 암세포가 폐에 생기는 돌연변이 증세에 시달리고 있어 원자력병원에서도 특이사례 관찰대상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 한전 서울전력관리처 변전운용과 박모 과장은 “전자파 때문에 암이 발생했다고 말하기에는 전문가가 아니어서 힘들다”며 “전국에 있는 345kV 변전소 및 송전탑 때문에 암이 생겼다는 민원이나 사례가 없고, 우리 직원들도 48시간 근무하고 있지만 암에 걸린 일이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장 의원은 “1994년 프랑스전력공사가 밝힌 종업원 역학조사에 의하면 폐암이 17%, 백혈병이 3배 이상 증가됐다는 사례가 있다”며 “송전탑에서 직선거리 10~30m 사이에 살고 있는 원주민들이 집중적으로 암에 걸린 원인을 한전측은 스스로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 삼하리 389-5번지 일대 송전탑 밑에서 농부들이 밭에 농작물을 심고 있다. 보기에도 아찔하다.
▲ 한전 양주변전소


“한전 상대로 법적 싸움도 불사”

[인터뷰] 양주시의회 장재훈 의원

-암 발생 현황을 조사하게 된 계기는?
=아버님이 얼마 전 암 판정을 받았다. 그런데 이상하게 주위 어른신들이 암에 걸려 돌아가시는 경우가 많아서 현황을 파악해봤다. 아버님의 경우 송전탑 인근인 삼하리 389-5번지 일대에서 농사철에는 날마다 일을 하셨다. 송전탑 자체에서 전압이 흐르는 경우도 있었다.

-한전 양주변전소가 암 발병 원인이라고 주장하는 근거는?
=대부분 원주민이었는데 1992년 가동 이후인 1996년 첫 암환자가 발생했고 이후 계속해서 급증했다. 암 전문의인 이승혁 박사는 ‘암 발생은 정상적 세포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자극을 받아서 돌연변이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규정했는데 전자파 영향이 클 것이라고 본다. 한림대 의과학연구소에서는 1998년 11월 생쥐를 대상으로 전자파 실험을 했는데 간, 폐, 신장, 고환, 난소 등의 암 발생이 4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프랑스전력공사도 1994년 종업원 역학조사를 한 결과 폐암이 17%, 백혈병이 3배 이상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스웨덴에서는 1993년 전자파가 백혈병 2.7배, 생리적 위험도 3.8배를 증가시킨다는 결과를 내놨다.

-앞으로의 대책은?
=곧 있을 양주시 행정사무감사 때 양주시의 도움을 받아 전자파 영향을 조사하고, 송전탑 위치와 현황, 송전선로 등을 면밀히 파악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좀더 구체적인 피해 원인을 알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이번 사안과 한전에서 양주시에 추진중인 345kV 신포천~신덕은 송전선로 건설사업과 154kV 백석변전소 건설사업을 묶어 조사특별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양주시의회에 제안할 예정이다. 또 유가족 및 부녀회 등과 함께 집단 민원을 준비중이다. 우선은 국민고충처리위원회에 민원을 제기하고, 법적 싸움도 검토할 생각이다.

민가를 가로지르는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송전탑

2007-06-07 15:00:09 수정 유종규 기자(freedomy@empal.com)
유종규 기자 님의 다른기사 보기
TOP
 
나도 한마디 (욕설, 비방 글은 경고 없이 바로 삭제됩니다.) 전체보기 |2
이름 제목 조회 추천 작성일
양주인 양주인 1390 72/47 06-08 13:48
양주인 남방동 변전소 송전탑 이전 촉구 1418 57/56 06-08 13:45

한마디쓰기 이름 패스워드  
평 가









제 목
내 용
0 / 300byte
(한글150자)
 
 
 
 
 
 
감동양주골 쌀 CF
 
민복진 미술관 개관
 
2024 양주시 도시브랜드 홍보영상
 박원영 부대장, 경기북부자치경
 은현농협 정설화 조합장, ’경기
 “소상공인 현장에 세밀하게 귀
 양주시의회, 제379회 임시회 열
 김성원 국회의원, 국가기간 전력
 경기도, 일산병원 중심의 경기북
 동두천시장, 정부에 ‘미군 공여
 동두천시, 민선8기 3주년 언론브
 양주축협, 동해리2구 마을과 1사
 김동연, “추경이 민생 살리는
 의정부시 신곡2동 주민자치회,
 폭염 속 노점 할머니 도운 동두
 20년 기다림의 결실…의정부 한
 동두천시보건소, 대한노인회 동
 양주시자원봉사센터, 2025 양주
 의정부시의회, 의원연구단체 ‘
 의정부시의회, 제9대 후반기 개
 의정부시의회 김태은 의원 제23
 동두천의료사회복지재단, ‘세계
 우미그룹 창업자 이광래 회장 별
 (기획)박형덕 시장 ‘동두천 대
 동두천시의회 김승진 팀장, 시인
 동두천시의회 박희주 정책지원관
 의정부시, 강현석 부시장 시정
 경상원 김민철 원장, 오산·화성
 동두천시, 미군 공여지 문제 해
 동두천시의회, 2025년 7월 정담
 “CEO가 직접 전한 일의 의미”
 불현동 방송댄스반, 제1회 동두
 의정부시, 장암 아일랜드 캐슬
 
폭염 속 노점 할머니 도운 동두천중학생에 시의장 표창
 
은현농협 정설화 조합장, ’경기농협 조합장상’
 
“UBC 사업, 시민 공론장에 올려야 합니다”
 
의정부문화재단 소홍삼 본부장, 관악문화재단 대표이사로
 
양주축협, 동해리2구 마을과 1사1촌 자매결연
 
동두천시의회 김승진 팀장, 시인(詩人) 등단
 
행동은 감정과 정신상태를 바꾼다
 
수습기간 해고의 정당성
 
통풍 치료는 정말 힘든가요?
 
건설 현장 노동자의 여름, ‘온열질환’과의 전쟁에서 살아남기
 
동두천의료사회복지재단, ‘세계 인구의 날’ 건강나눔 진행
 
 
 
 
 
 
 
 
 
 
 
 
 
 
섬유종합지원센터
 
 
 
신문등록번호 : 경기.,아51959 | 등록연월일 : 2018년 9월13일
주소 : (11676) 경기도 의정부시 신촌로17번길 29-23(가능동) 문의전화 : 031-871-2581
팩스 : 031-838-2580 | 발행·편집인 : 유종규│청소년보호책임자 : 송수연 | 관리자메일 : hotnews24@paran.com
Copyright(C) 경기북부시민신문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 for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