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5.31지방선거는 과거와는 다르게 정당이 풀뿌리 지역정치에 깊숙히 개입해 기초의원 후보까지 모두 공천하는 전형적인 정치공화국 시스템으로 진행되고 있다. 반면 이른바 ‘무보수 명예직’이던 기초의원들을 유급화시켜 전문성을 강화하겠다는 긍정적 취지도 도입됐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전문성 있는 인재들은 정치체제에 편입되지 못하거나 아웃사이더로 고군분투하고 있다. 원칙과 소신을 가진 정치인들도 공천에서 배제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정당에 줄을 서거나 아부를 떨어야만 공천을 받을 수 있다는 자괴감에 뜻을 접은 경우도 있다.
정당정치 시스템이 작동되다보니 정치지망생들은 그들의 정치철학과는 상관없이 정당지지율이 높은 쪽으로 매달리고, 공천경쟁이 치열하다보니 ‘썩은 돈냄새’가 물씬 풍기는 ‘돈공천’이 횡행했다. ‘공천은 곧 당선’이라는 등식을 생각했기 때문이다. 일부 선거구에서는 이런 등식이 현실로 나타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우리는 먼저 유권자들에게 ‘이 시대 최고의 애국은 투표’라는 생각으로 투표장에 나설 것을 호소한다. 투표는 유권자들이 행사할 수 있는 최고의 권리이자 최대 의무다. 스스로가 제대로 된 일꾼을 뽑지 않고 ‘정치는 맨날 개판’이라고 하소연한 들 이미 버스는 지나간 지 오래다.
우리는 또 이왕 투표장에 나섰으면, 후보자들의 살아온 이력과 정치철학, 인감 됨됨이가 쓸만한지를 꼼꼼히 살펴보기를 호소한다. 선거공보물을 한번 쯤은 탐독하거나 이웃들과의 대화를 통해 ‘진정 우리지역을 위해 일할 수 있는 후보가 누구인지’를 가려야 한다. 후보의 됨됨이가 어떤지도 모르고 이른바 특정정당에 대한 줄투표는 ‘나라 망치는 지름길’이다. 여러 색깔의 정치인들이 모여야 정책경쟁도 되고, 비판과 견제도 가능하다. 집행부와 의회가 ‘한통속’이 되면 이 또한 지역발전을 퇴보시키는 지름길이다. 막가파식 선심행정과 부패정치의 근원이기 때문이다.
이번 지방선거가 지역주민들의 건강한 정치참여를 이끌어내고, 지역발전의 백년대계를 그릴 수 있는 역사적인 축제가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