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자일동 자원회수시설 완전 지하화 이행’과 ‘자일동 예비군 훈련장 이전’ 문제를 두고 김동근 의정부시장과 김지호 의정부시의원이 40분 동안 설전을 벌였다.
김지호 의원은 6월30일 열린 의정부시의회 제337회 제1차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서 김동근 시장을 상대로 시정질문을 펼쳤다.
김 의원은 “자일동 주민들이 지난 5월20일 쓰레기 소각장 백지화 기자회견을 열었다. 주민들의 수용 조건이었던 ‘완전 지하화’와 ‘지상 공원화’가 가능한가?”라고 물었다.
김 시장은 “굴뚝과 사무동 건물을 지하로 넣을 수는 없다. 나머지 소각시설은 지하화로 할 것”이라며 “사무동 등 15% 외 나머지는 지상 공원화로 간다. KDI(한국개발연구원)가 비효율적이라고 지적하고 있지만 우리는 주민과의 약속이기 때문에 KDI와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기중기도 노출되는데 그게 지하화냐?”고 따졌다. 김 시장은 “3분의 1만 지상으로 나온다. 그게 왜 문제가 되냐?”고 답했다.
김 의원은 “생활폐기물시설, 재활용선별시설, 통합바이오가스화시설이 필요하지만 주민들은 반지하화를 반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시장은 “전국 어느 곳도 완전 지하화는 없다. 상식적으로 생각하자. 지하로 들어갈 수 없는 것으로 사무동, 굴뚝, 기중기가 대표적이다. 재활용시설은 완벽하게 지하로, 바이오시설은 기체이기 때문에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며 “안 되는 것을 억지 부리면 안 된다”고 항변했다.
그러면서 “반대편에 서서 문제를 만들기 위해 문제를 만들고 있다. 사무동 옆에 기중기가 보이는 게 뭐가 문제가 되나? 반지하화라는 용어도 쓰지 말라. 억지다”라며 “주민들의 기자회견을 김 의원이 부추긴 거 아닌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자 김 의원은 “반지하화가 반지하화다. 시장이나 억지 부리지 말라. 주민들은 억장이 무너질 것 같다. 곡소리가 들린다”며 “흥분하지 말라. 시장이 약속을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 왜 처음부터 진실을 얘기하지 않았나?”라고 응수했다.
이어 “2016년 자원회수시설 현대화사업이 시작됐고, 2017년 우선협상대상자로 한화를 선정했다가 2024년 4월 한화에 제안비용 보상금 12억1천만원을 지급했는데, 이것을 왜 즉시 공개하지 않았나?”라고 물었다.
김 시장은 “전임 시장이 2017년에 한화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지정해놓고 비밀로 해오다가 96%가 넘는 시민들이 공론화를 통해 재정사업으로 결정하면서 보상금이 나갔다”며 “즉시 공개하지 않은 것은 전임 시장에 대한 예의였다”고 답했다. 이어 “한화가 더 큰 금액을 요구했지만, 수차례 협상을 통해 금액을 낮췄다. 곧 기자회견을 열어 전임 시장 문제 등 샅샅이 다 공개하겠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이 “소각장 차고지 부지가 암반지역으로 사업비가 많이 들어가는데, 굳이 무리하게 자일동을 선택할 이유가 있었나? 삼척동자도 이해할 수 없다”며 “시장이 좋아하는 스터디, 잠을 줄이고 마른 수건 쥐어짜듯 선택했어야 했다. 시장이 암반지역이나 보상금 지급 등 예측 못하는 행정을 하고 있다”고 비난하자, 김 시장은 “그냥 하는 소리로 알아듣겠다”고 얼굴을 붉혔다.
김 의원은 “시장은 뭔가 숨기고 싶을 때 시민공론장을 이용하는 것 같다. 소각장도 그렇고 예비군 훈련장 이전 문제도 그렇다”며 “관내에 왜 예비군 훈련장이 들어가야 하나? 자일동은 영원히 지역발전이 어려워진다. 시장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질타했다.
김 시장은 “인근 시·군으로 옮기려 노력했으나 그쪽의 반대로 중단됐다. 시간적인 한계도 있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