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해를 거듭할수록 노동인구의 고령화와 3D 직종에 대한 기피로 인해 구인난이 발생하고,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제조업, 건설현장 등에서 외국인 근로자 고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실제 많은 외국인 근로자들이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언어의 장벽과 문화적 차이로 인하여 산업안전수칙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근로자의 권리와 보호 장비 및 방호 설비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다. 결국 이러한 차이는 안타깝게도 중대 재해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자료에 의하면 외국인 근로자의 산업재해는 매년 증가 추세이다. 최근 5년 동안 외국인 근로자의 사망자 수는 매년 평균 101명에 달하며 전체 사고 사망자 중 12.3%에 달하고 있다. 2021년 한 해 동안 외국인 근로자 사고 사망 만인율은 1.19%로 전체 사고 사망 만인율 0.43%보다 약 2.8배 높은 수치를 보인다.
국내에서 종사하는 외국인 근로자에게 주어진 작업환경으로는 주로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근무한다. 대부분 유해하고 위험한 작업에 종사하며 언어장벽으로 인한 이해 부족과 충분한 안전보건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 재해 예방에 취약하다.
외국인 근로자의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업주와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산업안전은 국적과 상관없이 모든 근로자가 지켜야 할 기본이자 권리이다. 사업주와 관리자 역시 외국인 근로자들이 안전 수칙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안내가 필요하다. 해당 근로자의 모국어로 된 안전 교육자료 제공과 그림이나 동영상을 활용한 직관적인 안내 등 통역 인력 확보 등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산업재해는 한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다. 하나의 사고는 현장 전체의 위기를 불러올 수 있고, 기업의 신뢰와 생산성에도 큰 타격을 준다. 따라서 모두가 함께 지키고, 함께 노력해야 하는 공동의 과제이다.
내국인 근로자는 물론 외국인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산업안전의 출발점이다. 안전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모두의 권리이다. 지금 이 순간, 서로의 안전을 다시 한번 돌아보아야 할 때이다.
.jpg)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