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북부지역을 동서로 연결하는 교외선이 1월11일부터 운행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지난 1963년 개통된 교외선은 운영 효율성 문제와 경제적 적자로 2004년 운행이 중단됐다. 그러나 경기북부지역 도민들의 교통 불편이 가중됨에 따라 경기도는 2021년부터 국토교통부 및 의정부시, 양주시, 고양시,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과 협업해 재개를 추진해왔다.
의정부역 기준 첫차는 오전 6시, 막차는 오후 7시29분이며 의정부역에서 양주시 장흥역을 거쳐 고양시 대곡역까지 이동시간은 약 50분 소요된다. 총 30.5㎞ 구간에 걸쳐 개통 초기에는 하루 왕복 8회 운행하고, 향후 단계적으로 운행을 확대할 계획이다.
시설개량비로 국비 497억원이 투입됐으며 경기도 및 3개시(고양, 양주, 의정부)가 약 52억원을 부담해 운행차량 및 청원건널목 개량을 지원했다. 향후 차량 안전진단을 위해 약 8억원을 추가 투입할 예정이며 운영비는 운영현황, 운영수익 등에 따라 각 시에서 부담할 예정이다.
교외선에는 의정부, 송추, 장흥, 일영, 원릉, 대곡 등 6개역이 있으며 이중 송추, 장흥, 원릉은 무인역사로 운영된다.
코레일톡 어플과 레츠코레일에서 예매 가능하며 대곡, 일영, 의정부에서는 자동발매기를 통해 현장 발권을 할 수 있다. 무인역인 송추, 장흥, 원릉에서는 차내 발권으로 진행된다.
교외선 활성화를 위해 1월11일부터 31일까지는 운임을 기존 2,600원에서 1,000원으로 할인하고, 2월3일부터는 ‘교외하루패스’를 도입해 4,000원에 하루 동안 교외선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한태우 경기도 철도운영과장은 “교외선은 단순한 철도가 아니라 경기북부와 수도권의 미래를 연결하는 중요한 축이며, 지역 간 연계성을 강화하고 주민 생활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개통 초기에는 과거 운행횟수 수준을 고려해 왕복 8회 운영하고 향후 안정화 단계를 거쳐 운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