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96%91%EC%A3%BC%EC%8B%9C%EB%A6%BD%ED%9A%8C%EC%95%94%EC%82%AC%EC%A7%80%EB%B0%95%EB%AC%BC%EA%B4%80%2C%20%EA%B5%AD%EB%A6%BD%EB%AC%B8%ED%99%94%EC%9C%A0%EC%82%B0%EC%97%B0%EA%B5%AC%EC%9B%90%EA%B3%BC%20%EC%97%85%EB%AC%B4%20%EC%95%BD%EC%A0%95%20%EC%B2%B4%EA%B2%B02.JPG)
양주시(시장 강수현)는 10월 25일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관장 홍미영)과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이 업무 약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두 기관은 양주 회암사지에서 출토된 중요 문화유산에 대한 학제적 공동연구와 연구교류 활성화를 위해 약정을 체결하며, 분석·연구를 통해 양주 회암사지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국민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주요 약정 내용은 ▲양주 회암사지 출토 문화유산의 과학적 분석과 해석을 위한 학제적 연구 ▲연구성과 관련 책자 발간과 학술대회 개최 ▲연구성과 홍보 및 공동 활용 등이다.
양주 회암사지(사적)는 고려 중기부터 조선 중기까지 번창한 왕실 사찰로, 14세기 동아시아에서 유행했던 불교 선종 문화의 번영을 증명하는 고고 유산으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2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으로 등재됐다.
총 13차의 발굴조사를 통해 영락장식, 소조불 및 청기와 등의 중요 유물이 출토되었으나 분석 연구는 본격적으로 진행되지 않았다.
앞으로 양 기관은 시료의 분석과 해석까지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연구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 학술활동도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은 양주시 대표 문화유산인 회암사지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조명하기 위해 지속적인 조사·연구 및 학술대회를 진행해 왔다.
홍미영 문화관광과장은 “앞으로 다양한 문화유산 기관과의 협력망을 강화하여 회암사지 연구를 더욱 심화시키고, 세계유산 등재까지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