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시 면적의 절반 가까이를 70여년 넘도록 미군기지로 내어준 동두천시에서 ‘역사 전쟁’ 조짐이 엿보이고 있다.
동두천시가 ‘기지촌 여성’들을 관리하기 위해 운영된 성병관리소를 ‘소요산 관광지 확대 개발사업’을 통해 없애려 하자 시민단체들이 ‘원형 보존’을 요구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경기여성연대, 경기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기지촌여성인권연대, 경기북부평화시민행동, 경기중북부환경운동연합 등은 4월3일 동두천시 상봉암동 성병관리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병관리소는 기지촌 미군위안부 여성들이 국가로부터 인권침해와 폭력을 겪었던, 아프지만 반드시 보존해야 할 엄연한 역사적 장소”라고 밝혔다.
이들은 “생존자 122명은 2014년 미군위안부 제도의 역사적 사실과 피해를 밝히고 국가 책임을 규명하고자 ‘기지촌 미군위안부 국가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으며, 8년 3개월 만인 지난해 9월29일 대법원은 국가 책임을 인정한 최종 판결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들은 “성병관리소(낙검자수용소)의 반인권적, 폭력적 실태는 국가배상소송에서도 중요한 쟁점이었다”며 “특히 한국전쟁 발발 이후 가장 많은 미군 기지촌을 보유한 경기도의 경우 총 6개 지역에 낙검자수용소를 운영했는데, 그 중에서도 동두천은 미군위안부 불법 강제감금, 페니실린 과다 투약 등으로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여성들의 생명에 치명적인 위협을 가해 악명이 높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동두천시는 성병관리소와 그 대지인 상봉암동 8번지 외 2필지를 소유주(신흥재단)로부터 총 29억원에 매입했고, ‘소요산 관광지 확대 개발사업’을 통해 활용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며 “이 건물은 전국에서 얼마 안 남은 원형 그대로 보존된 낙검자수용소다. 아직도 많은 생존 피해자가 기억하는 장소다. 다시는 이러한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후대가 기억해야 할 공간으로 남겨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동두천 성병관리소가 고령의 피해자들이 겪은 생생한 기억과 기록으로 남을 수 있도록 해달라”고 동두천시에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