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경기북부노동인권센터는 중소영세사업장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경기북부지역에서 경기도 지원을 받아 2021년에 이어 취약노동자를 위한 조직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서로가 힘을 합하여 돕는다는 의미를 가진 공제(共濟)의 의미를 담아 취약노동자들이 서로 의지하고 기댈 수 있는 경기북부노동공제회로 사회적 안전망 구축과 지속 가능한 거버넌스를 마련하고 있다.
50인 이하의 중소영세사업장이 다수를 이루고 있는 경기북부지역에서는 대부분 열악한 근로조건에 처해 있는 노동자들에게 울타리가 되어 줄 것으로 기대하며 사업을 시작했다. 경기북부지역은 산업단지가 50여곳 가량 산재해 있으며, 그중 산업단지와 첫발을 내딛는 (사)남면산업단지기업체협의회(협의회)와 12월6일 업무협약을 가졌다.
협의회와는 지난 2년간 기초적인 노동법에 대한 사용자 대상 노동법률교육을 지원하면서 협약식에 이르게 되었다. 협약 행사에 앞서 노동공제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공유하고, 회원사의 종사자가 가입하면 ▲명절선물 ▲입원비 지원(4일, 1일 4만원) ▲소액대출(150만원) ▲재해사망위로금(300만원) ▲일상복지서비스(할인협약, 생활법률무료상담 등)을 이용할 수 있다는 간략한 설명 후에 희망 회원사 직원들과 함께 설명회를 들었으면 좋겠다는 말도 전했다.
나아가 산업단지 내의 회원사들이 대체로 열악하다 보니 이렇다 할 사내 복지가 없어 안타깝다며 경기북부노동공제회의 노동공제 사업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공동노력을 할 것을 약속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협의회 이창호 회장은 “회원사들과 노동공제 사업 발굴을 포함한 노사 발전 기반을 다지는 데 노력할 것이며, 경기북부노동인권센터의 노동법률교육과 상시적 노무상담 등 지원을 통해 노사가 서로 상행하는 초석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경기북부노동인권센터 박주동 센터장은 “몰라서 분쟁이 생기는 것보다는 조금씩 알아가면서 상호 이해를 같이하는 분위기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센터에서 추진하는 노동공제 사업에 서로 머리를 맞대고 종사자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도 함께 힘쓰자는데 공감대가 형성되어 매우 기쁘다”며 업무협약의 의미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