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의정부시가 고산동 물류센터는 백지화를 추진하면서 반대로 민락동 지식산업센터(아파트형 공장)는 허가해주려는 것에 대해 학부모들이 “이중적 행정”이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의정부시와 학부모들의 갈등이 임계점을 향해 치닫고 있는 상황이다.
의정부시는 송양유치원(민락동 881번지) 바로 옆에 건립하려는 지식산업센터(민락동 882번지)를 가장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는 학부모들을 달래기 위해 10월24일 ‘이해당사자 상호 협의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송양유치원에서 열린 회의에는 유치원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최순덕), 이정열 유치원장, 오석규 경기도의원(의정부4), 의정부교육지원청 관계자, 의정부시 관계자 등이 모였다. 지식산업센터 관계자들은 학부모들의 반대로 회의에 참석하지 못했다.
학부모 A씨는 “지난 2019년에 미승인된 사항인데 다시 이슈가 돼 기가 막히다”며 “아이들의 안전권 및 생명권이 개인의 재산권과 동일한가? 의정부시는 아이들 안전은 안중에 없고 돈만 있으면 되는 곳인가?”라고 따졌다.
학부모 B씨는 “의정부시는 이럴 거면 왜 130억원을 들여 전국 최고의 유치원을 지었냐?”며 “어떤 생각으로 지식산업센터를 승인하려는지 이해할 수 없다. 유치원 생각은 1도 없는 것 같다”고 했다.
최순덕 위원장은 “김동근 시장님은 선거 때 고산동 물류센터는 주거밀집지역이자 초등학교와 불과 200여m 떨어져 있어 아이들 안전을 위협한다며 백지화를 약속했다”며 “그런데 지식산업센터는 유치원 바로 옆이다. 참으로 이율배반적 행정인데, 혹시 실무자들이 시장님 눈과 귀를 차단하는 게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비판했다.
학부모 C씨는 “아이들이 투표권이 없어서 시장님이 이러시나?”라며 “시장님을 만나 의중을 알고 싶다. 우리 의견이 제대로 전달되는지도 의문”이라고 했다.
학부모 D씨는 “2021년 11월16일 지식산업센터 추진업체 법인 설립, 12월23일 도시·건축공동위원회 개최, 12월23일 토지 계약, 12월31일 관련 조례 개정, 2022년 1월28일 토지 소유권 이전 등 일련의 신속한 과정에 의혹이 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의정부시 관계자는 “2차선 도로인 이곳은 이미 교통 위험이 있다. 지식산업센터가 들어선다고 해도 교통량은 비슷할 것 같다. 그래서 기초조사는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오석규 의원은 “교통 위험이 있다면 지식산업센터는 더욱 더 들어서면 안된다. 이미 2천300명이 넘는 학부모와 주민들이 반대 서명을 했다”며 “유치원만의 문제를 넘어 지역 문제가 돼 민관 갈등이 심각해지는 수준”이라고 경고했다.
의정부교육지원청 관계자는 “교육환경 피해가 분명하며 특히 일조권 침해는 말이 안된다. 일조권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지식산업센터는 불가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정열 유치원장은 “시민과 소통하고 협치하겠다는 김동근 시장님이 2019년에 미승인된 지식산업센터를 다시 추진하는 것에 큰 유감”이라며 “시정목표 첫 번째가 ‘아이가 행복한 도시’인 만큼 아이들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지식산업센터 계획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의정부시 관계자는 “희망적으로 생각 말라. 법적으로 막을 방법이 없다”며 지식산업센터 인허가 의지를 내비치는 등 갈등 상황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