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뉴스 
2025.05.19 (월)
 
Home > 칼럼 > 경기북부노동인권센터의 노동안전지킴이
 
사고는 방심을 먹고 산다!
안병후 양주시 노동안전지킴이
  2022-08-19 17:33:44 입력

각종 현장에서 크고 작은 사고로 인한 사상자 소식을 접할 때마다 ‘이런 사고가 일어나지 않을 수는 없을까’ 하고 생각하지 않고 그냥 지나치는 날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지난 2022년 4월22일 경기도 화성시 아파트 신축현장에서 90센치미터 높이 말비계(변경된 위치임) 위에서 상부거푸집 수평목 작업을 하던 중 넘어져 바닥에 있던 전기배관 고정용 철근에 찔려 병원에 실려가 치료를 받던 중 끝내 사망한 사고 뉴스를 보았을 때 정말 어처구니가 없어 기가 막혔다. 

아무런 생각 없이 건설현장에서는 그렇게 해놓는구나 하고 지나쳤을 뿐 미쳐 이렇게 끔직한 사망에 이르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까지는 인지하지 못한, 나 자신의 안이한 안전의식이었음을 제고하게 되었다. 

그날 이후 항상 그 사고 내용을 설명하고, 현장에서 그런 사항이 있으면 개선 요청을 생활화하고 있는데, 5월 초 방문한 양주시 삼숭동 건축현장(694-31) 건축주께서는 이런 내용을 들으시더니 보통의 현장과는 달리 즉시 그 자리에서 작업자에게 지시하여 바닥 높이에 맞춰서 순식간에 10여개소에 튀어나와 있던 철근을 모두 제거해주셔서 고맙다는 인사를 드리고 나온 적이 있다.

그럼, 농경시대에 살았던 우리 선조들은 일찍이 일터나 일상생활 속에서 안전에 대해 그동안 어떻게 대응해 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겨울철 한강에서 얼음 채취를 할 때는 강둑에 말뚝을 박아놓고, 동아줄로 허리에 연결해 작업했다고 한다. ‘안전대를 착용하고 안전 고리를 부착설비에 걸고 안전하게 작업하자.’ 경

복궁을 지을 때는 후대까지 안전한 건축물을 남기기 위해 공사에 참여한 작업자들의 이름을 적은 문서를 상량에 넣어 보관했다. 선조들은 건축물에 ‘안전실명제’를 도입해 왔을 만큼 안전의식이 높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옛 속담이나 격언 등을 보더라도 우리 조상들의 안전의식은 남다르게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다음 몇 가지 속담과 격언을 통해 안전에 대한 마음가짐을 새롭게 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때가 있다.(매사에 자만심은 금물: 철골 위에서 안전대 걸지 않고 작업)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확인 또 확인) ▲구운 게도 다리 떼고 먹어라.(위해·위험요인을 사전에 확인하자) ▲식은 죽도 불어가며 먹어라.(서두르지 말고 반드시 절차를 지켜라) ▲개미구멍이 공든 탑 무너뜨린다.(사소한 곳에 사고 원인이 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안전을 습관화하자) ▲얕은 내도 깊게 건너라.(조심 또 조심)

징검다리 없는 냇물을 건너려면 바짓가랑이를 물에 젖지 않게 하고서 건너야 한다. 그 바짓가랑이를 무릎 위까지 걷어 올리고 건너면 조심성이 있다고 판정되고, 그 바짓가랑이를 두 손으로 추켜들고 기우뚱거리며 건너면 조심성이 없는 것으로 판정받았다. 또 짐을 지고 가다가 쉴 때 지겟작대기를 평지에 아무 데나 괴고 받치면 조심성이 없는 것으로, 지겟작대기를 돌부리를 찾아서 받치면 조심성 있는 인성으로 판정을 한다.

부모나 상전에게 올리는 세숫물은 반드시 그 앞에서 손을 담가 안전 수온임을 보여드리는 것이 도리로 되어 있었다. 곧 안전은 전통사회의 인간 됨됨이의 조건에서 3대 요인 가운데 하나였다. 그래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속담도 우리나라처럼 많은 나라도 드물다. 

아는 길도 물어 가며 냉수도 불어 먹어라 한다. 안전문화가 철저했기에 안전속담이 많았는지, 안전문화가 빈약했기에 안전속담이 많아졌는지 알 길은 없다. 다만 현대를 사는 인간 조건으로 우리 옛 조상들이 비중을 크게 두었던 조심성이 새삼스러워지는 것이다.

이밖에도 안전과 관련된 수많은 문구가 이루 말할 수 없을 만큼 많다. 대부분 사고는 방심하는 순간, 예측 불가능한 순간에 발생한다. 안전한 생활을 위해서 선조들의 교훈을 잊지 말고 가슴속에 새기며 실천해 나갔으면 한다. 

 

경기북부시민신문(hotnews24@paran.com)
경기북부시민신문 님의 다른기사 보기
TOP
 
나도 한마디 (욕설, 비방 글은 경고 없이 바로 삭제됩니다.) 전체보기 |0
이름 제목 조회 추천 작성일

한마디쓰기 이름 패스워드  
평 가









제 목
내 용
0 / 300byte
(한글150자)
 
 
 
 
 
 
감동양주골 쌀 CF
 
민복진 미술관 개관
 
2024 양주시 도시브랜드 홍보영상
 양주시, 진학 로드맵 제시…‘미
 양주시, 관내 120명 유아 대상
 신천지 구리교회, 이만희 총회장
 양주시, ‘2025년 찾아가는 통합
 의정부시의회, 제5대 의정부시
 경기도, 경기 RE100·AI·간병SO
 경기도 장애학생, 새역사 쓰다!
 경기도민 생명 지킨 119구조견
 양주시립미술창작스튜디오, 삶과
 경기도의회 이영주 의원, 덕현중
 청렴의정차담회 정례 운영, 동두
 양주시, 책으로 잇는 성장 이야
 동두천시정신건강복지센터, 오는
 동두천시, 2025년 보육교사 스승
 의정부도시공사, 공공기관 개인
 경기도교육청, 인공지능(AI) 서&
 경기도, 10월 15일까지 하천분야
 평생 모은 재산, 의정부 인재 위
 의정부·양주·동두천시, 환경법
 의정부부대찌개, “2025 K-웰니
 경기도체육대회 개막. 김동연,
 (입장문) 정치권의 근거 없는 ‘
 임태희 교육감, “교육구성원 모
 점검 넘어 변화의 시작이 되다
 경기북부 전략산업 육성 위한 ‘
 경기도,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2
 경기북부노동인권센터, ‘비정규
 임태희 교육감, “스승의날, 귀
 강수현 양주시장, 도체전 출전
 동두천문화원 부설 동두천예절원
 
정진호 의원 “시장 마음 바뀔 때마다 개발방향 바뀌는 한심한 의정부”
 
송추정신병원-양주경찰서, 정신질환자 응급대응 업무협약
 
“UBC 사업, 시민 공론장에 올려야 합니다”
 
덕도초에 71세 만학도 입학…“배움에 나이는 없죠”
 
정진선 의정부시자원봉사센터장 취임
 
김환철 교수, 의정부시의회 교외선 활용연구 착수보고
 
글로 기록 남기기의 중요성
 
일용직 근로자의 퇴직금
 
문과들이 다 해 먹는 나라 대한민국
 
점검 넘어 변화의 시작이 되다
 
회천농협, 경북 산불 피해 릴레이 성금 기부
 
 
 
 
 
 
 
 
 
 
 
 
 
 
섬유종합지원센터
 
 
 
신문등록번호 : 경기.,아51959 | 등록연월일 : 2018년 9월13일
주소 : (11676) 경기도 의정부시 신촌로17번길 29-23(가능동) 문의전화 : 031-871-2581
팩스 : 031-838-2580 | 발행·편집인 : 유종규│청소년보호책임자 : 송수연 | 관리자메일 : hotnews24@paran.com
Copyright(C) 경기북부시민신문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 for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