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23일 최용덕 동두천시장이 딜라이브 케이블TV를 통해 청송산업개발에 대한 증설허가의 불가피성을 인터뷰하고 있다.
최용덕 동두천시장이 친구가 대표로 있는 소각업체를 강하게 두둔하며 증설허가를 해준 명분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친구를 위한 증설허가에 거짓말 논란이 불거지고 있는 것이다.
최 시장은 지난 4월20일 동두천시의회 박인범 의원이 5분 자유발언에서 “최근 일부 언론보도를 통해 제기되고 있는 특혜행정 시비 등 각종 의혹을 해소하라”고 촉구하자, 4월23일 딜라이브 케이블TV와 만나 초·중학교 고향 친구가 대표로 있는 상패동 소재 청송산업개발을 강력 엄호했다.
최 시장은 “청송에서 현재 허가난 배출가스량을 수치로 이야기한다면 100입니다. (그런데) 그 시설에서 100이 아니라 150을 배출한다고 합니다. 50이 더 많이 나가면 위법한 건데 어떻게 영업을 했냐 물어보니깐 50을 탄소은행에서 사서 150을 배출하고 있다 이렇게 얘기하는 거죠”라며 “(증설 및 건축허가 이후) 신기술로 150이 나가고 있는 배출가스를 50으로 줄인다고 합니다. 1/3로. 그렇다면 내가 볼 때는 어떻게 허가를 안해주겠습니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 배출가스를 줄이는 과정에서 용량이 늘어난다고 하더라. 그거는 중요한 게 아닌 것 같다”는 납득하기 어려운 해명을 추가했다.
요지는 ‘첫째, 불법적인 배출가스량 초과분을 처리하기 위해 온실가스 거래제를 이용, 탄소배출권을 샀다. 둘째, 신기술을 이용해 배출가스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증설허가를 해줬다’로 정리된다.
이와 관련 7월15일 본지 취재를 종합해보면, 최 시장이 딜라이브 케이블TV를 통해 사실과 동떨어진 발언을 시민들에게 여과없이 공표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시장이 실무자들도 모르는 업체의 ‘영업비밀(?)’을 개인적으로 취득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동두천시 대기환경 담당자는 “우리는 청송의 온실가스 할당량과 탄소배출권 거래 여부를 알지 못한다”고 해명했다. 이어 “청송에 확인해보니, 온실가스를 할당받을 규모가 아니어서 거래 실적이 없다는 답변을 하더라”라고 했다.
소각장 담당자는 “청송의 신기술 도입 여부는 청송에 물어보라”고 했다. 청송산업개발 관계자는 “배출가스량을 줄일 수 있는 신기술이 있냐?”고 되물었다.
다른 지자체 관계자는 “그런 신기술이 있다면 지구 환경을 구할 수 있는 노벨상감”이라고 비꼬았다.
한편, 동두천시는 청송산업개발이 2019년 11월 하루 소각용량을 48톤에서 91톤으로 무려 2배 가까이 증설하겠다고 신청하자 불과 2개월 만인 2020년 1월30일 의회 및 주민들 모르게 허가해줬다. 2021년 3월5일 소각장 신축 신청을 하자 역시 1개월 만인 4월9일 건축허가를 해줬다.
그러나 동두천시는 하루 96톤 소각용량의 소요동 탑이엔티는 환경부 승인까지 받았지만 ‘주민 동의를 받을 것’ 등을 이유로 내세워 고형폐기물연료(SRF) 사용허가를 해주지 않았다.